스베틀라나 페오파노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베틀라나 페오파노바는 러시아의 은퇴한 장대높이뛰기 선수이다.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 은메달, 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2001년과 200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각각 은메달과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4년에는 4.88m를 뛰어넘어 당시 세계 기록을 세웠고, 실내 경기 개인 최고 기록은 4.85m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여자 장대높이뛰기 선수 - 옐레나 이신바예바
러시아의 장대높이뛰기 선수 옐레나 이신바예바는 여자 장대높이뛰기 세계 기록을 30회 경신하며 '미녀새'라는 별칭으로 불렸고, 올림픽 금메달과 세계 선수권 우승을 차지했으나, 은퇴 후 정치적 활동 및 논란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러시아의 올림픽 참가 선수 - 스베틀라나 호르키나
스베틀라나 호르키나는 이단 평행봉에서 뛰어난 기량으로 올림픽 2연패와 세계 선수권 5연패를 이룬 러시아의 전 기계체조 선수로, 은퇴 후에는 러시아 체조 연맹 부회장과 국가 두마 의원으로 활동하며 정치에도 참여했다. - 러시아의 올림픽 참가 선수 -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는 소련 출신의 테니스 선수로, 2004년 US 오픈과 2009년 프랑스 오픈에서 우승하여 그랜드 슬램 단식에서 두 차례 우승했으며, WTA 투어 올해의 신인상을 수상하고 세계 랭킹 2위에 오르기도 했다. - 러시아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막심 오팔레프
막심 오팔레프는 1979년생 러시아의 남자 스프린트 카누 선수이며, 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11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 러시아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이리나 슬루츠카야
러시아의 전 피겨 스케이팅 선수인 이리나 슬루츠카야는 유럽 선수권 7회 우승, 올림픽 메달 획득, 세계 선수권 우승 등 뛰어난 업적을 남겼으며 은퇴 후에는 방송, 아이스쇼 출연과 정치인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스베틀라나 페오파노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80년 7월 16일 |
출생지 | 모스크바, 소비에트 연방 |
신장 | 1.60m |
체중 | 49kg |
종목 | 육상 |
세부 종목 | 장대높이뛰기 |
소속 | 디나모 모스크바 |
개인 최고 기록 | 4.88m |
올림픽 메달 | |
2004 아테네 | 은메달 (장대높이뛰기) |
2008 베이징 | 동메달 (장대높이뛰기)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메달 | |
2003 파리 | 금메달 (장대높이뛰기) |
2001 에드먼턴 | 은메달 (장대높이뛰기) |
2007 오사카 | 동메달 (장대높이뛰기) |
2011 대구 | 동메달 (장대높이뛰기) |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메달 | |
2003 버밍엄 | 금메달 (장대높이뛰기) |
2001 리스본 | 은메달 (장대높이뛰기) |
2010 도하 | 은메달 (장대높이뛰기) |
2004 부다페스트 | 동메달 (장대높이뛰기) |
2006 모스크바 | 동메달 (장대높이뛰기) |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메달 | |
2002 뮌헨 | 금메달 (장대높이뛰기) |
2010 바르셀로나 | 금메달 (장대높이뛰기) |
2. 선수 경력
페오파노바는 2004년 하계 올림픽 여자 장대높이뛰기에서 같은 나라 선수 옐레나 이신바예바 뒤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4년 7월 4일에는 그리스 헤라클리온에서 당시 세계 기록 4.88m을 뛰어넘었다.[1] 200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1], 200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1]
2000년과 2012년 올림픽에서 페오파노바는 예선에서 높이를 통과하지 못하고 탈락했다.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4.15m에서 세 번 실패했고, 런던 올림픽에서는 4.4m에서 두 번 실패한 후 마지막 시도에서 4.5m을 실패했다.
연도 | 대회 | 개최지 | 종목 | 결과 | 기록 |
---|---|---|---|---|---|
2001 |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 리스본 (포르투갈) | 장대높이뛰기 | 2위 | 4.51m |
2001 | 200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에드먼턴 (캐나다) | 장대높이뛰기 | 2위 | 4.75m |
2001 | IAAF 그랑프리 파이널 | 멜버른 (호주) | 장대높이뛰기 | 2위 | 4.45m |
2002 |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뮌헨 (독일) | 장대높이뛰기 | 1위 | 4.6m |
2002 | IAAF 육상 월드컵 | 마드리드 (스페인) | 장대높이뛰기 | 2위 | 4.4m |
2003 |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 버밍엄 (영국) | 장대높이뛰기 | 1위 | 4.8m |
2003 | 200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파리 (프랑스) | 장대높이뛰기 | 1위 | 4.75m |
2003 | IAAF 월드 애슬레틱 파이널 | 몬테카를로 (모나코) | 장대높이뛰기 | 2위 | 4.6m |
2004 |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 부다페스트 (헝가리) | 장대높이뛰기 | 3위 | 4.7m |
2004 | 올림픽 | 아테네 (그리스) | 장대높이뛰기 | 2위 | 4.75m |
2006 |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 모스크바 (러시아) | 장대높이뛰기 | 3위 | 4.7m |
2007 | 200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오사카 (일본) | 장대높이뛰기 | 3위 | 4.75m |
2007 | IAAF 월드 애슬레틱 파이널 | 슈투트가르트 (독일) | 장대높이뛰기 | 3위 | 4.82m |
2008 | 올림픽 | 베이징 (중국) | 장대높이뛰기 | 3위 | 4.75m |
2008 | IAAF 월드 애슬레틱 파이널 | 슈투트가르트 (독일) | 장대높이뛰기 | 2위 | 4.7m |
2011 |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대구 (대한민국) | 장대높이뛰기 | 3위 | 4.75m |
2. 1. 국제 대회 경력
스베틀라나 페오파노바는 2004년 하계 올림픽 여자 장대높이뛰기에서 같은 나라 선수 옐레나 이신바예바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고, 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4년 7월 4일에는 그리스 헤라클리온에서 당시 세계 기록 4.88m를 넘기도 했다.[1]페오파노바는 200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1], 200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1] 2006년 예테보리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1]
연도 | 대회 | 개최지 | 결과 | 기록 | 비고 |
---|---|---|---|---|---|
2000 | 올림픽 |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 — | NM (q) | 예선 탈락 |
2001 |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 리스본 (포르투갈) | 4.51m | 결선 | |
세계 선수권 대회 | 에드먼턴 (캐나다) | 4.75m | 결선 | ||
2002 |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 빈 (오스트리아) | 4.75m | 결선 | |
유럽 선수권 대회 | 뮌헨 (독일) | 4.6m | 결선 | ||
2003 |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 버밍엄 (영국) | 4.8m | 결선 | |
세계 선수권 대회 | 파리 (프랑스) | 4.75m | 결선 | ||
2004 |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 부다페스트 (헝가리) | 4.7m | 결선 | |
올림픽 | 아테네 (그리스) | 4.75m | 결선 | ||
2006 |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 모스크바 (러시아) | 4.7m | 결선 | |
유럽 선수권 대회 | 예테보리 (스웨덴) | 4위 | 4.5m | 결선 | |
2007 |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 버밍엄 (영국) | 4.76m | 결선 | |
세계 선수권 대회 | 오사카 (일본) | 4.75m | 결선 | ||
2008 |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 발렌시아 (스페인) | 5위 | 4.6m | 결선 |
올림픽 | 베이징 (중국) | 4.75m | 결선 | ||
2010 |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 도하 (카타르) | 4.8m | 결선 | |
유럽 선수권 대회 | 바르셀로나 (스페인) | 4.75m | 결선 | ||
컨티넨탈컵 | 스플리트 (크로아티아) | 4.6m | 결선 | ||
2011 | 세계 선수권 대회 | 대구 (대한민국) | 4.75m | 결선 | |
2012 | 올림픽 | 런던 (영국) | — | NM (q) | 예선 탈락 |
- NM = 기록 없음 (높이 통과 실패)
- 2000년과 2012년 올림픽에서 페오파노바는 예선에서 높이를 통과하지 못하고 탈락했다. 시드니에서는 4.15m에서 세 번 실패했고, 런던에서는 4.4m에서 두 번 실패한 후 마지막 시도에서 4.5m을 실패했다.
2. 2. 2011년 대구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대한민국 대구에서 개최되었다. 페오파노바는 이 대회 장대높이뛰기에서 4.75m의 기록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1] 당시 대구스타디움은 뜨거운 열기로 가득했으며, 한국 팬들은 페오파노바를 비롯한 세계적인 선수들의 경기에 열광적인 응원을 보냈다.연도 | 대회 | 개최지 | 종목 | 결과 | 기록 |
---|---|---|---|---|---|
2011 |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대구 (대한민국) | 장대높이뛰기 | 3위 | 4.75m |
3. 개인 최고 기록
종목 기록 날짜 장소 비고 장대높이뛰기 (실외) 4.88m 2004년 7월 4일 그리스 이라클리오 장대높이뛰기 역대 기록 10위 장대높이뛰기 (실내) 4.85m 2004년 2월 22일 실내 역대 기록 9위
3. 1. 실외 경기
4.88m (2004년 7월 그리스 이라클리오에서 열린 경기)는 장대높이뛰기 역대 기록 10위에 해당한다.
3. 2. 실내 경기
페오파노바의 실내 장대높이뛰기 최고 기록은 2004년 2월에 기록한 4.85m이다. 이 기록은 당시 실내 장대높이뛰기 역대 기록 9위에 해당한다.
4. 국내 대회 기록
스베틀라나 페오파노바ru는 러시아 전국 실외 장대높이뛰기에서 6회(2001, 2006, 2007, 2008, 2011, 2012년), 러시아 전국 실내 장대높이뛰기에서 4회(2001, 2006, 2008, 2010년) 우승했다.
5. 국제 대회 성적
연도 | 대회 | 개최지 | 종목 | 결과 | 기록 |
---|---|---|---|---|---|
2000 | 올림픽 |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 장대높이뛰기 | 예선 탈락 | NM[1] |
2001 |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 리스본, 포르투갈 | 장대높이뛰기 | 2위 | 4.51m[1] |
세계 선수권 대회 | 에드먼턴, 캐나다 | 장대높이뛰기 | 2위 | 4.75m[1] | |
2001 | IAAF 그랑프리 파이널 | 멜버른, 오스트레일리아 | 장대높이뛰기 | 2위 | 4.45m |
2002 |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 빈, 오스트리아 | 장대높이뛰기 | 1위 | 4.75m[1] |
유럽 선수권 대회 | 뮌헨, 독일 | 장대높이뛰기 | 1위 | 4.6m[1] | |
2002 | IAAF 육상 월드컵 | 마드리드, 스페인 | 장대높이뛰기 | 2위 | 4.4m |
2003 |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 버밍엄, 영국 | 장대높이뛰기 | 1위 | 4.8m[1] |
세계 선수권 대회 | 파리, 프랑스 | 장대높이뛰기 | 1위 | 4.75m[1] | |
IAAF 월드 애슬레틱 파이널 | 몬테카를로, 모나코 | 장대높이뛰기 | 2위 | 4.6m | |
2004 |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 부다페스트, 헝가리 | 장대높이뛰기 | 3위 | 4.7m[1] |
올림픽 | 아테네, 그리스 | 장대높이뛰기 | 2위 | 4.75m[1] | |
2006 |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 모스크바, 러시아 | 장대높이뛰기 | 3위 | 4.7m[1] |
유럽 선수권 대회 | 예테보리, 스웨덴 | 장대높이뛰기 | 4위 | 4.5m[1] | |
2007 |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 버밍엄, 영국 | 장대높이뛰기 | 1위 | 4.76m[1] |
세계 선수권 대회 | 오사카, 일본 | 장대높이뛰기 | 3위 | 4.75m[1] | |
IAAF 월드 애슬레틱 파이널 | 슈투트가르트, 독일 | 장대높이뛰기 | 3위 | 4.82m | |
2008 |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 발렌시아, 스페인 | 장대높이뛰기 | 5위 | 4.6m[1] |
올림픽 | 베이징, 중국 | 장대높이뛰기 | 3위 | 4.75m[1] | |
IAAF 월드 애슬레틱 파이널 | 슈투트가르트, 독일 | 장대높이뛰기 | 2위 | 4.7m | |
2010 |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 도하, 카타르 | 장대높이뛰기 | 2위 | 4.8m[1] |
유럽 선수권 대회 | 바르셀로나, 스페인 | 장대높이뛰기 | 1위 | 4.75m[1] | |
컨티넨탈컵 | 스플리트, 크로아티아 | 장대높이뛰기 | 1위 | 4.6m[1] | |
2011 | 세계 선수권 대회 | 대구, 대한민국 | 장대높이뛰기 | 3위 | 4.75m[1] |
2012 | 올림픽 | 런던, 영국 | 장대높이뛰기 | 예선 탈락 | NM[1]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